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문화산책] 말하기와 글쓰기

명랑한 아주머니들의 수다 꽃이 피기 시작하면 참으로 볼만하다. '만화방창 화란춘성' 거침이 없어서 도무지 막을 재간이 없다. 아주머니들의 수다는 일단 재미있다. 잘 들어보면, 어떤 주제를 가지고 서로 주고받는 대화가 아니라, 각자가 자기 말만 줄기차게 하는데도 신통하게 잘 통한다. 참 신기한 일이다.   신기한 것이 또 있다. 그 수다의 달인 아주머니들에게 “그 재미있는 이야기를 그냥 날려버리지 말고, 글로 써서 남기면 좋겠다”고 권하면, 펄쩍 뛰며 손사래를 친다. 말과 글은 전혀 다른 분야라고 삼팔선보다도 진한 선을 긋는 것이다.   이해하기 어렵다. 나는 말과 글은 하나이고, 말을 글자로 적어놓으면 글이 된다고 믿는다. 내가 주로 연극판에서 대사(말) 중심의 공연 대본을 썼기 때문일지도 모르겠지만, 아무리 생각해도 말과 글은 별개일 수 없다. 말을 청산유수로 잘하는 사람이 왜 글쓰기는 어렵고 거북하게 여기는 걸까?   “내 이야기를 글로 쓰면 장편 소설 몇 권은 되고도 남을 것이다”라는 말을 흔히 듣는다. 하지만, 보통사람의 자서전이나 회고록은 별로 많지 않다. 말과 글은 전혀 다른 것이고, 나와는 관계없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고정관념 때문이다. 잘못된 생각이다. 깨버렸으면 좋겠다. 이런 생각에는 역사의 영향도 어느 정도 작용하는 것 같다. 역사적으로, 지배계층의 권력자들은 글공부를 독점했다. 일반 백성들이 글을 배워서 똑똑해지는 것을 원치 않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글쓰기는 따로 공부해야 하는 특별한 분야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 그런 점에서는 말과 글은 다르다고 여긴다. 물론, 문법이나 맞춤법 같은 기초적 공부가 필요하기는 하지만, 크게 어렵거나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글은 배워야 잘 쓰는 것이 아니다. 공부가 오히려 방해되는 경우도 많다.   내가 보기에는 글쓰기의 형식에서 자유로운 보통사람들이 진솔하게 쓴 시나 글이 어설픈 문인의 작품보다 한결 감동적이고 울림이 크다. 거추장스러운 제약에 얽매이지 않기에 순수하다. 철들기 전의 어린아이 그림이 놀라울 정도로 순수하고 아름다운 것과 이치다.   누구나 마음만 먹으면 글을 쓸 수 있다. 이를 증명할 예들도 많다. 가령, 한국 경상북도 칠곡군 할매시인들도 좋은 예다. 평균 연령 78세의 할매시인들은 마을학당에 모여 가슴 속 깊이 숨겨두었던 지나온 삶의 이야기를 글로 쓰고 그림도 그리는데, 주옥같은 글들이 참 많이 탄생했다. 김용택 시인이 100여명의 어머니가 쓴 감동적 시를 모아 엮은 시집 ‘엄마의 꽃씨’도 좋은 예다.   일본의 할머니 시인 시바타 도요(1911-2013)가 98세 때 펴낸 첫 시집 ‘약해지지 마’를 읽어봐도, 일상의 말을 그대로 글로 적은 것처럼 편안하다. 쉽고 편하지만 감동의 울림이 크고, 시에 담긴 유머 감각과 긍정적인 태도가 호평을 받으면서 엄청난 베스트셀러가 되어, 일본열도를 감동하게 했다.   말과 글은 본디 하나다. 역사적으로 보면, 태초에 먼저 말이 있었고, 한참 지나서 글자가 만들어졌다. 그 후에도 말의 힘은 끈질기게 이어졌다. 입에서 입으로 전해져 내려온 구비문학, 신화와 전설, 노래, 민요, 민화 등의 서사구조와 정신세계는 오래 전승되었고, 지금도 존재한다. 가령 어린 시절 들었던 할머니의 옛날이야기, 어머니의 자장가 같은 것의 영향은 평생 간다.   많은 이들이 자기의 삶과 생각을 글로 썼으면 좋겠다. 글쓰기는 해보면 생각보다 쉽고 재미도 있다. 실제로는 이미 전 국민이 매일 글쓰기를 하고 있다. 휴대전화를 심각한 표정으로 노려보면서 꾹꾹 누르는 글자들이 곧 글이다. 금방이라도 세계 명작이 나올 것 같은 진지한 표정이다. 그 글에다 자기만의 생각을 꾹꾹 눌러 담고, 좀 길게 쓰면 좋은 글이 될 수 있다. 바야흐로 '모든 사람은 시인이요, 작가'인 시대다. 장소현 / 시인·극작가문화산책 글쓰기 옛날이야기 어머니 할머니 시인 달인 아주머니들

2024-06-27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